방송통신대학교

보건영양학 논문 요약 및 용어 정리, 방통대 중간과제

함운상 2024. 2. 1. 21:16

요약한 논문 제목: 


김보연·김미현(2021). 유아 어머니의 유아식사에서 가정간편식 이용빈도에 따른 유아 자녀의 식사의 질 평가. 한국영양학회지(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43, 292 304

 

1. 용어 정리

 

1) 가정간편식(HMR)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이란 가정 식사 대용상품으로 가정(Home)에서 하는 식사(Meal)를 대체(Replacement)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정간편식(HMR)의 정의 및 범위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내려져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세부적으로 그 범위와 내용을 정의할 수 있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가정간편식(HMR)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간편식(HMR)에 대한 용어 정의가 내려져있지 않으나, 위와 같은 정의 및 연구 내용을 고려할 때 가정간편식(HMR)이란 가정 외에서 구매하여 바로 먹거나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식품을 뜻한다.

 


2) 첨가당

 

첨가당(added sugar)이란 미국 농무성(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에서 정의한 용어로 조리와 가공 중에 첨가 되는 당을 의미한다. 설탕, 시럽, , 당밀, 덱스트 로즈 등을 포함하나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우유의 유당, 과일의 과당, 감미료(아스파탐), 당알콜(자일리톨), 올리고당은 포함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총 당류 섭취량을 총 섭취열량 대비 10~20% 이내로 제한하고, 가정간편식과 같은 가공식품 등에 첨가된 당(첨가당)의 섭취량은 총 에너지 섭취량의 10%를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3) ·유아기

 


영아기와 유아기를 합한 것으로, 인간의 발달단계는 발달 순서에 따라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등으로 구별된다. 각 발달의 기간은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는데 영양학 사전에 따르면 영아기는 출생 후 3세가 되기까지의 기간, 유아기는 만 3세에서부터 초등학교 취학시기에 달할 때 까지의 시기를 의미한다. 이 시기에는 신체, 인지성장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며 적절한 영양 공급이 매우 중요하다. 영양 부족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양의 음식이 영유아에게 공급되어야하며, 위 크기가 성인의 절반도 되지 않으므로 음식의 양을 고려하며 매 끼 식사 외에도 간식을 통해 영양을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논문 요약

 


1) 연구의 필요성

 


식품산업의 발전 및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와 함께 현대 가정에서 가정간편식(HMR)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HMR과 같은 가공식품의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 진행된 여러 다른나라의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가공식품의 섭취가 식사의 질 저하 및 부정적인 식습관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HMR 이용실태와 식습관 및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유아기는 신체 발달 뿐 아니라 인지적인 발달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다양한 식품을 통한 충분한 영양섭취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 시기의 식습관은 이후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유아의 경우 스스로 식습관을 결정하기보다 부모나 다른 가족들의 식태도 및 식습관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들의 HMR 섭취 실태와 식습관을 포함한 식사의 질 관련성 규명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유아의 영양섭취 상태 및 식생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주양육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요구된다는 연구수행의 어려움으로 관련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아동 대상 영양지수를 활용하여 유아 식사에서 HMR의 이용빈도에 따른 유아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 유아 가정에서의 바람직한 식생활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세종특별자치시 8개 단설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선행연구 자료 및 취학 전 아동 대상 영양지수 선행연구 자료를 참고하여 연구 목적에 맞도록 문항을 재구성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유아 어머니의 일반적인 사항(나이, 가족구성원의 수, 자녀 수, 가족의 형태, 직업, 한달 평균 식생활비, 한달 평균 HMR 구입비), 유아 어머니가 유아 식사에서 HMR을 사용하는 빈도, 유아 자녀의 일반적인 사항(성별, , 몸무게, 건강상태), 자녀의 영양지수산정을 위한 식습관 조사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녀의 식습관은 콩이나 두유, 생선, 육류, 김치를 포함한 채소류 반찬, 흰 우유,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공 육류, 가공음료, 피자나 햄버거 섭취빈도와 밥상식사 여부, 바른식생활지도 여부, 음식을 먹기 전 손씻기 여부, 아침 식사 빈도, TV 및 전자기기사용 실태, 과일 섭취의 15문항을 조사하였다. 이중 미취학 아동 대상 영양지수 NQ-P 산정에 필요한 14개의 항목에 대한 조사 결과를 영역별 가중치와 문항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NQ-P 영양지수 점수를 산정하였다. NQ-P 조사는 균형’, ‘절제’, ‘환경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영역별 점수는 각각 100점 만점으로 산정하였다. 5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40부를 회수하였으며 답변이 부실한 3부를 제외한 337매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들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어머니의 유아자녀의 식사에서 HMR 사용 빈도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는 연속형 변수의 경우 ANOVA-test를 실시하였고, 평균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에 Du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사후분석을실시하였다. 범주형 변수는 χ2 -test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연구 결과 및 논의

 


유아 식사에서 HMR 이용빈도를 조사한 결과 주 3회 이상 섭취가 62(18.4%), 1-2회 섭취 145(43%), 1회 미만 섭취 130(38.6%)의 분포를 보였다. 이에 유아 식사에서 HMR 이용빈도에 따라 대상자는 '3회 미만 섭취군', '1-2회 섭취군', '1회 미만 섭취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유아 어머니의 평균 나이는 38.3세였으며, 어머니의 직업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전업주부가 가장 많았다. HMR을 구입하는데 드는 한 달 평균 비용은 주3회 섭취군은 20-30만원, 1-2회 섭취군은 5-10만원, 1회 미만 섭취군은 5만원 미만의 비율이 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01). 유아 자녀의 일반적인 사항은 남자가 180, 여자가 156명으로 평균키와 몸무게, 건강상태는 세 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녀의 식사에서 HMR 이용 빈도에 따른 식습관은 세 군간에 콩이나 두유, 생선, 육류, 채소류 반찬, 흰 우유 섭취 빈도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p < 0.01), 가공 육류 (p < 0.001), 가공 음료 (p < 0.001), 피자나 햄버거 (p < 0.001)의 섭취 빈도는 세 군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 HMR 이용 빈도가 높은 군일수록 가공 식품의 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 자녀의 영양지수를 평가한 결과 영양지수 총점은 주3회 이상 섭취군 60.5, 1-2회 섭취군 63.0, 1회 섭취군 64.5점으로 HMR 이용 빈도가 높은 주3회이상 섭취군이 다른 두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 < 0.01). 식습관 영역별 점수에서 균형과 환경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절제 영역은 주3회 이상 섭취군 44.1, 1-2회 섭취군 51.3, 1회 미만 섭취군 57.5점으로 HMR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아 어머니가 유아의 식사에서 HMR의 이용빈도가 높은 경우 전체적인 영양 및 식습관 절제 영역의 식사의 질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유아 자녀의 식사는 주 양육자가 준비하는 음식에 의존하게 되므로 자녀의 건강을 위한 균형 잡힌 영양섭취 및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어머니의 올바른 식품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연구결과를 통해 식습관 형성기에 있는 유아 자녀의 식사에서 지나친 가공식품의 사용을 절제할 필요성이 제시되었고, 이를 위해 유아 식사의 주된 관리자가 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3. 연구 내용에 대한 평가

본 연구는 유아 식사에서 가정간편식(HMR)의 이용 빈도가 유아 자녀의 식사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한 것으로, 곧 이유식을 시작하는 5개월 아기를 양육하는 아빠의 입장에서 매우 흥미로운 주제였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가정간편식(HMR) 시장이 성장하고 있고, 이를 활용한 식생활이 보편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그간 연구가 미비했던 유아 자녀의 식사 질 및 식습관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가정 간편식(HMR)을 자주 활용한다고 했을 때, 아동의 건강 상태나 영양 섭취군에 큰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으나 청소년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는 달랐던 연구 내용도 인상깊었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식사에서는 가정 간편식(HMR)을 활용하더라도 콩, 육류, 생선 등의 영양을 고려하여 식단을 짠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났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가정 간편식(HMR)의 활용이 많으면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패스트 푸드의 섭취가 높고, 과일 섭취 빈도가 낮은 등 유아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유아 식사에서 가정 간편식(HMR)의 적절한 활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세종시 일부 단설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를 33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이기에 본 결과를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정 간편식(HMR)시장의 발전으로 다양한 간편식이 개발되고 있는데, 활용하는 가정 간편식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이것이 미치는 영향까지는 고려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앞서 용어 정리에 언급했듯 가정 간편식의 한 종류인 밀키트 제품은 조리하기 쉽도록 재료들이 손질되어 있을 뿐 가정에서 요리하는 것과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 진 제품도 많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도 고려할 수 있을 것 같다.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 식사에서 지나친 가공식품은 절제해야 함이 밝혀졌으나,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어머니의 책임 및 영양교육만을 제시한 것에는 아쉬움이 있다.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유아의 식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영양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다만 연구에서 이와 더불어 건강하게 활용 가능한 가정 간편식(HMR)의 개발 및 활용 등이 개선방향으로 함께 제시되었다면 후속 연구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유아기는 영아기와 더불어 인간발달단계의 다른 어떤 시기보다 영양 공급이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유아기 적절한 영양 섭취의 필요성을 고찰시키고 그 가운데 가정 간편식(HMR)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에 의의가 있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1. 강혜남(2022), 충주지역 중년남성의 가정간편식 이용실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심리학 용어사전, 영양학 용어사전

3. 박성진, 최종우, 허성윤 (2015), 가정식 대체식품(HMR) 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이창연(2012), 대구지역 학교급식의 당류 섭취 실태 조사 - 첨가당을 중심으로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장다인(2021), 가공식품 당류 섭취 및 영양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최지원(2018), 수도권과 중부지역 거주 성인의 가정간편식 섭취실태 및 관련 변인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